목록2024/02 (3)
에코프로.AI

데이터 . 아래와 같이 키가 175, 165, 180, 160인 4명의 사람이 있다고 하자. 키 (cm) 175 165 180 160 평균 (mean) 정의 : 평균값, 전체를 더해서 그 개수로 나눠 줌. 수식 예시 평균 값 : (175 + 165 + 180 + 160) / 4 = 170 편차 (deviation) 정의 : 실제 값과 평균 값의 차이 (실제 데이터 값 - 평균 값) . 합계가 0임 : 평균값을 기준으로 차이를 계산했기 때문 수식 예시 키 (cm) 175 165 180 160 평균 170 170 170 170 편차 +5 -5 +10 -10 분산 (variance) 정의 : 흩어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 됨. . 편차는 다 더하면 0이라, 평균을 구할 수가 없다. 그래서 편차에서 부호를 ..

1. 척도 원활한 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객관적 척도로 변환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척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수치화하는 것에 사용되는 일종의 측정 도구입니다. 자료구분 척도구분 등호연산 (=, !=) 비교연산 (, =, !=) 가감연산 (+, -) 승제연산 (×, ÷) 질적자료 (범주형) 명도척도 범주 서열/순서척도 범주 순서 양적자료 (연속형) 등간/구간 척도 범주 순서 상대적 크기 비율 척도 범주 순서 상대적 크기 절대적 크기 명목척도 (Nominal Scale) 정의 : 관측대상의 범주를 오로지 구분하기 위해 기호나 숫자를 부여하는 척도입니다. - 양적인 의미가 없으며, 상대적인 비교가 어렵다. . 남 : 0, 여자 : 1 이라고 가정했을때, 여자..
귀무가설, 대립가설? 귀무가설 (Null Hypothesis) 귀무가설은 일반적으로 연구자가 주장하는 가설이 아닌, 반대의 가설입니다. 연구 결과에 대해 아무런 차이가 없다는 가정을 나타냅니다. 흔히 "H0"로 표기되며, 기존에 받아들여진 상태를 설명합니다. 대립가설 (Alternative Hypothesis) 대립가설은 연구자가 주장하는 가설입니다. 연구 결과에 대해 특정한 차이가 있다는 가정을 제시합니다. 흔히 "H1"이나 "Ha"로 표기되며, 연구자의 관심사를 반영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연구에서 두 그룹 간의 평균 차이를 검정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때, 귀무가설(H0): 두 그룹의 평균은 같다. 대립가설(H1): 두 그룹의 평균은 다르다. 통계적 가설검정을 통해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