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간분석
- Ai
- 성능
- dl
- GPU
- 3유형
- ㅂ
- 예제소스
- 인공지능
- 공간시각화
- qgis
- QGIS설치
- 머신러닝
- 1유형
- webserving
- 실기
- gradio
- K최근접이웃
- 딥러닝
- streamlit
- 2유형
- Kaggle
- ml 웹서빙
- CUDA
- 빅데이터분석기사
- 캐글
- KNN
- fastapi
- DASH
- pytorch
- Today
- Total
목록AI Miscellany (12)
에코프로.AI

데이터 . 아래와 같이 키가 175, 165, 180, 160인 4명의 사람이 있다고 하자. 키 (cm) 175 165 180 160 평균 (mean) 정의 : 평균값, 전체를 더해서 그 개수로 나눠 줌. 수식 예시 평균 값 : (175 + 165 + 180 + 160) / 4 = 170 편차 (deviation) 정의 : 실제 값과 평균 값의 차이 (실제 데이터 값 - 평균 값) . 합계가 0임 : 평균값을 기준으로 차이를 계산했기 때문 수식 예시 키 (cm) 175 165 180 160 평균 170 170 170 170 편차 +5 -5 +10 -10 분산 (variance) 정의 : 흩어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 됨. . 편차는 다 더하면 0이라, 평균을 구할 수가 없다. 그래서 편차에서 부호를 ..

1. 척도 원활한 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객관적 척도로 변환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척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수치화하는 것에 사용되는 일종의 측정 도구입니다. 자료구분 척도구분 등호연산 (=, !=) 비교연산 (, =, !=) 가감연산 (+, -) 승제연산 (×, ÷) 질적자료 (범주형) 명도척도 범주 서열/순서척도 범주 순서 양적자료 (연속형) 등간/구간 척도 범주 순서 상대적 크기 비율 척도 범주 순서 상대적 크기 절대적 크기 명목척도 (Nominal Scale) 정의 : 관측대상의 범주를 오로지 구분하기 위해 기호나 숫자를 부여하는 척도입니다. - 양적인 의미가 없으며, 상대적인 비교가 어렵다. . 남 : 0, 여자 : 1 이라고 가정했을때, 여자..